ROE 계산 예시 그림으로 쉽게 알아보기
오늘은 주식투자를 할 때 꼭 보셔야하는 지표 중 하나인 ROE에 대해 배워보려고 합니다! 내가 투자하려는 기업이 돈을 잘 버는 기업인지 아닌지 판단할 때 사용합니다. 이 기업이 꾸준히 돈을 벌고 성장하고 있는지 판단하는게 정말 중요하겠죠. 그러니 이번 챕터는 꼭 숙지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시작해보겠습니다!
더 재미있는 컨텐츠를 원하신다면 제 인스타그램에 놀러와주세요~!
인스타그램 보러가기
어느날 A와 B에게 꿈같은 일이 생겼습니다. 누군가 그들에게 막대한 돈을 투자를 한 것인데요. 금액은 자그마치 10억! 앞으로 1년 동안 이 돈을 가지고 더 큰 돈을 벌어야 하는 미션을 받았습니다. 과연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결과는 A의 승리이군요! 1년동안 A는 10억을 활용해서 3억을 벌었고 B는 1억을 벌었습니다. A 대단하네요.
즉 같은 자본으로 기업을 운영할 때 더 많은 돈을 버는 기업에 투자하는것이 맞겠죠. ROE에 따르면 B보다는 A에 투자하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이를 ROE 수치로 환산하면 A는 30%, B는 10%가 됩니다.
즉 ROE 공식은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뒤 100을 곱한 값입니다. 다른 말로 자기자본이익률, 투자대비수익률이라고도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ROE가 높을 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계속 높은 ROE를 유지하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해가 지날 수록 기업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이나 원가 등은 높아져 가기 때문입니다. 높은 ROE를 위해 분자인 당기순이익을 늘리는 법도 있지만 반대로 분모인 자기자본을 줄이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자기자본을 줄이는 방법은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주거나 자사주 소각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즉 주주환원정책을 통해 자기자본을 줄이는 것입니다. 또는 사업확장을 위해 투자를 해서 자기자본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 미국의 애플이 꾸준히 ROE를 늘릴 수 있었던 이유도 주주환원정책을 통해서였습니다.
최근 정부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결하고자 저 PBR 종목들을 중심으로 밀어주자는 정책이 발표가 되었습니다. PBR 또한 나중에 다루겠지만 간단히 설명하자면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보다 주가가 낮을 때 저PBR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즉 저평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ROE 또한 이 기업이 저평가되었는지 안되었는지 활용할 수 있는 핵심 지표이기도 합니다.
한동안 금융주들이 전고가를 돌파하며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 배경에는 주주환원정책이 있었습니다. 자사주 소각을 통해 자기자본을 줄여 ROE를 높이기도 하였는데요. 개미로서 이런 주주환원정책이 더 활성화가 되어서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들이 이어졌으면 좋겠네요.
오늘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하트는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셔요~!
'주린이 고수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가총액 순위 보는법 뜻 그림으로 쉽게 알아보기 (0) | 2024.03.31 |
---|---|
코스피 코스닥 차이 및 뜻 그림으로 쉽게 알아보기 (0) | 2024.03.28 |
공매도 뜻 보는법 상환기간 그림으로 쉽게 알아보기 (0) | 2024.03.26 |
저PBR주 뜻 관련주 그림으로 쉽게 알아보기 (0) | 2024.03.20 |
성장주 가치주 차이 예시 그림으로 쉽게 알아보기 (0) | 2024.03.15 |